EBS ( Elastic Block Storage )
- 네트워크 드라이브 이기 때문에 인터넷 연결이 없으면 사용할 수 없다. ⇒ 네트워크 드라이브 이기 때문에 연결도 해제도 상당히 자유롭다. ⇒ 대체 작동으로 사용 가능
- EBS는 EC2와 마찬가지로 사용 범위가 AZ 내로 한정된다.
- 한 개 인스턴스에 여러 개 EBS를 부착할 수 있다.
- EBS는 사용하지 않을 시 생성만 하고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.
- EBS는 처음 생성 시 인스턴스 종료 시 EBS볼륨 자동 삭제라는 기능이 활성화 되어있는데 삭제를 원하지 않을 경우 비활성화 할 수 있다.
- EBS 는 볼륨이기 때문에 처음 생성 시 용량, 프로비전 속도 등을 고려해 생성해야 하지만 이후에 용량을 늘릴 수도 있다.
EBS Snapshot 기능
- EBS Asnapshot Archive
- 아카이브 티어에 스냅샷을 저장하는 기능으로 최대 75% 저렴
- 하지만 아카이브 티어에서 스냅샷을 복원하는데 시간이 24시간 ~ 최대 72시간 걸림 ⇒ 즉, 바로 복원이 안된다.
- EBS 휴지통 ( Recycle Bin ) ⇒ EC2 서비스 → EBS 메뉴 → Snapshot → 우측 상단 휴지통 메뉴에서 정책으로 생성 가능
- 실수로 스냅샷을 삭제했을 때 바로 영구 삭제되는 것이 아니라 휴지통으로 먼저 가는 기능
- 실수로 삭제를 해도 영구 삭제 되지 않기 때문에 복원할 수 있다
- 휴지통이 삭제되는 기간을 지정할 수 있음
- 빠른 스냅샷 복원 ( FSR )
- 스냅샷이 아주 크고 EBS 볼륨 또는 EC2 인스턴스를 빠르게 복구해야 하는 경우 유용한 기능
- 스냅샷을 완전 초기화해 첫 사용에서의 지연 시간을 없애는 기능
- 가격이 비싸다
EBS Volume Types ( EBS 볼륨 타입 )
- 범용 SSD 볼륨 ( gp2 / gp3 ) : 가장 범용적인 타입
- 최고 성능 SSD ( io1 / io 2 ) : 최고 성능을 자랑, 크리티컬한 데이터가 아니고 지연 시간이 낮으며, 대용량 워크로드에 적합하다.
- 저비용 HDD ( st1 ) : 잦은 접근과 처리량이 많은 워크로드에 적합
- 가장 비용이 적은 HDD ( sc1 ) : 접근 빈도가 낮은 워크로드를 위해 설계
※ 1번, 2번 만이 부팅 볼륨으로 사용 가능하다. ⇒ 루트 OS가 실행될 위치
- gp2 / gp3 비교
- gp3는 IOPS와 처리량을 독자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반면에 gp2는 디스크 크기가 늘어나면 I/O도 증가한다.
- 프로비저닝 IOPS ( PIOPS )
- io1 ⇒ 디스크 크기에 상관없이 IOPS를 설정할 수 있다.
- 데이터베이스 작업에 유용하다.
- 상당히 빠른 처리 속도를 지원한다.
- io1 / io2 를 고민할 때는 현재는 최신 세대를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.
- st1
- 잦은 접근과 처리량이 많은 워크로드에 적합하다.
- Cold HDD인 sc1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
- 빅 데이터나 데이터 웨어하우징, 로그처리에 적합하다.
- Cold HDD ( sc1 )
- 최저 비용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떄 사용한다.
※ 32,000 IOPS 이상을 요구할 때는 io1 또는 io2 볼륨의 EC2 Nitro를 사용해야 한다. ⇒ 이것도 최대 64,000 IOPS 까지 가능하다. 더 빠른 속도를 원한다면 EC2 Instance Store 를 사용해야 될 것으로 보여진다.
EBS 다중 연결
- 동일한 EBS 볼륨을 동일한 AZ에 있는 다수 EC2 인스턴스에 연결하는 것
- 다중 연결 기능 ⇒ io1 / io2 에서만 사용 가능하다.
- 해당 AZ 내에서만 다중 연결이 가능하다.
- 고성능 볼륨을 모든 인스턴스가 읽고 쓸 수 있다.
- 한번에 16개 인스턴스까지만 연결할 수 있다 ⇒ 시험에 나온다 함
- 다중 연결을 실행하려면 반드시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.
EBS Encryption ( EBS 암호화 )
- 스냅샷을 통해 해당 볼륨의 스냅샷을 찍어 볼륨 생성 후 암호화가 가능하다.
- 암호화를 해도 속도 차이는 거의 없다고 함
EC2 Instances Store ( EC2 인스턴스 스토어 )
- IOPS( 초당 작업 수 )가 EBS에 비해 훨씬 빠른 실제 부착된 하드웨어
- 처리속도는 EBS에 비해 훨씬 빠르지만 만약 해당 가상머신에 문제가 생기거나 했을 경우 해당 데이터에도 문제가 생긴다.
- 빠른 속도를 요구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데이터, 버퍼, 캐시, 임시 파일 같은 경우 저장을 고려할만하다.
EFS ( Elastic File System )
-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(NFS) 이다 ⇒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나다.
- 여러 AZ에서 EFS를 액세스 할 수 있다.
- 액세스 하기 위해선 보안 그룹을 설정해서 사용해야 한다.
- 수천 개 NFS 클라이언트에서 10GB/s 속도로 사용할 수 있다.
- 용량을 미리 프로비저닝하지 않아도 NFS가 RB규모로 자동 확장된다.
- 다양한 성능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.
- 범용모드
- 기본 설정
- 지연 시간에 민감한 웹 서버, CMS와 같은 사용 사례에 사용
- 최대 I/O 모드
- 처리량, 병렬 처리 성능이 향상 ⇒ 처리량이 많아지기에 지연 시간은 그만큼 늘어난다
- 파일 시스템에 빅 데이터나 미디어 처리 작업이 있을 때 유용하다.
- 처리량 모드
- 버스팅 모드가 기본값이다. ⇒ 파일 시스템 크기와 비례한 용량을 가짐
- 1TB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초 당 약 50MiB ~ 100MiB까지 버스트 할 수 있다.
- 프로비저닝 모드 설정도 가능 ⇒ 스토리지 크기에 상관없이 처리량을 설정할 수 있다. : Ex ) 1GB 파일 시스템에 → 초 당 1GiB로 해서 사용할 수 있다. ⇒ 작은 파일 시스템에 유용하다.
- 범용모드
- EFS - Storage Classes
- Storage Tier 설정 ( 스토리지 계층 설정 ) ⇒ 일정 시간 후 파일을 다른 계층으로 옮기는 기능
- 스탠다드 계층 : 액세스가 빈번한 파일을 보통 Standard 계층에 저장
- EFS-IA ( Infrequent Access ) 계층 : 파일을 검색할 경우 검색에 대한 비용이 발생 하지만 파일을 저장하는 비용은 낮다. ⇒ 해당 계층을 사용하려면 수명 주기 정책 사용해야함 ( 생명 주기 정책에 따라 어느 정도 기간 동안 사용되지 않으면 EFS-IA 로 이동 ) : 즉, 잘 사용되지 않는 파일을 옮겨 비용을 최소화
- 가용성과 내구성 측면
- 스탠다드( Regional 또는 Standard ) : EFS를 다중 AZ에 설정 ⇒ 프로덕션 설정에 적합 : 한 가용 영역이 중단되더라도 파일 시스템 영향 X
- One Zone : 개발 할 때 좋은 옵션 , 하나의 AZ : 기본적으로 백업이 활성화된다. ⇒ 해당 옵션은 EFS-IA 계층과 호환됨 → 이를 EFS One Zone-IA 라고 한다. ⇒ 요금은 훨 씬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다. ( 약 90% 절감 )
- Storage Tier 설정 ( 스토리지 계층 설정 ) ⇒ 일정 시간 후 파일을 다른 계층으로 옮기는 기능
※ Duraability ⇒ 내구성
정리
EBS와 EFS, 인스턴스 스토어 비교
EBS
- 한 번에 하나의 인스턴스에만 연결 가능
- 특정 AZ에 한정됨
- gp2 타입 : 디스크 용량이 늘어나면 I/O 도 함께 증가
- io1 타입 : 디스크 용량과 별개로 I/O 설정이 가능 ⇒ 데이터베이스 작업에 특화됨
- EBS를 다른 가용 영역으로 옮기고 싶을 땐 ⇒ 스냅샷을 이용해서 복제 ⇒ 해당 방법을 사용할 때는 인스턴스가 EBS를 사용 중이 아닐 때만 실행 해야함
- EC2 인스턴스 종료 ⇒ 루트 EBS 볼륨도 종료 ⇒ 설정을 통해 비활성화 가능하다.
EFS
- 여러 AZ를 거쳐 많은 인스턴스가 연결 가능
- WordPress 같은 웹 사이트 파일을 공유할 때도 EFS 사용
- Linux 인스턴스에서만 사용 가능하다.
- EBS에 비해 비용이 3배 가량 비싸다. ⇒ 절약하고 싶을 땐 스토리지 티어로 EFS-IA 사용
- EFS는 사용한 용량 만큼만 비용이 청구 ⇒ EBS는 드라이브 크기에 따라 비용 청구
- 다수의 인스턴스에 거쳐 연결이 필요한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에 적합하다.
인스턴스 스토어
- EC2 인스턴스에 I/O를 최대로 사용하게 해주지만, 인스턴스가 망가지면 같이 망가짐
- 임시 드라이브
'Cloud > Amazon Web Servi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AM(Identity Access Management) 계정 관리 및 Key Pair 관리 (IAM 보안) (0) | 2023.12.24 |
---|---|
AWS IAM(Identity Access Management) ? / IAM 기본적인 보안 설정 (0) | 2023.12.01 |
Amazon S3(Simple Storage Service) / S3를 이용한 정적 웹 배포 (0) | 2023.12.01 |
Amazon CloudWatch, CloudTrail, Config 정리 (2) | 2023.11.03 |
VPC(Virtual Private Cloud)란? / VPC 및 서브넷(Subnet) 구성 실습 (0) | 2023.09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