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안 관제 관련/네트워크

위 그림은 TCP 의 연결방식인 3 - Way Handshaking 에 대한 그림 입니다. Step 1 ⇒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는 SYN 플래그 비트가 설정된 세그먼트를 전송한다. 이때 클라이언트는 SYN 을 보냈으므로 Closed → SYN_SENT 상태가 된다. Step 2 ⇒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SYN 요청을 받고 요청을 수락 하는 SYN 플래그와 ACK 플래그를 함께 보낸다. 이때 서버는 SYN 응답을 받은 상태이기 때문에 LISTEN → SYN_RECEIVED 상태가 된다. 별도로 응답을 보낸 것에 대해선 상태를 변화 시키지 않는다. Step 3 ⇒ 클라이언트는 서버가 보낸 요청에 대한 ACK 플래그를 전송한 후 최종적으로 실제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는 상태인 SYN_SENT → ..
TCP 특징 1.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 ※ 신뢰성 => 오류 검출, 재전송, 혼잡제어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에 신뢰성 있다 라고 표현하는 것이다. 2. UDP 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=> 손실확인이나 재전송 같은 여러 과정들을 거치기 때문 3. Full-Duflex(양방향 통신), 1:1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. UDP 특징 1. 비연결형 프로토콜 2. 혼잡제어 , 흐름제어 , 재전송 등을 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가 TCP 에 비해 빠름 => Best Effort 방식 3. 신뢰성이 낮다. 4. 일 대 일, 일 대 다, 다 대 다 통신이 가능하다. TCP Header TCP 헤더의 경우 일반적으로 여러개의 필드로 이루어진 20Bytes 크기의 헤더를 사용한다. 만약 일반 ..
OSI 7 Layer 란? OSI 7 Layer 란? ISO ( 국제 표준화 기구 ) 에서 표준화한 모델로 초기 통신 장비들은 타 업체 통신 장비들간 호환성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고자 만든 국제 표준안이다. OSI 7 Layer 가 만들어진 목적 표준화를 통하여 타 장비별 호환성 문제 해결를 해결함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었다. OSI 모델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일을 쉽게 설명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교육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. 캡슐화 ( encapsulation ) & 역캡슐화 ( decapsulation ) 캡슐화 ( Encapsulation )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각 계층 마다 제어 정보가 필요하다. 데이터를 송신할 때 각 계층을 지날 때마다 필요한 제어 정보를..